미래 국방보안 이끌어갈 ‘국방혁신기술보안협회’ 출범

미래 국방보안 이끌어갈 ‘국방혁신기술보안협회’ 출범
  • 18일 밀리토피아호텔에서 창립 발대식 및 총회 개최하고, 김승주 고려대 교수가 협회장 맡아
  • 권영해 前 장관, “국방보안 담당하는 정부부서와 연결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강조

“혁신기술 보안 확립으로 과학기술강군 육성에 기여”한다는 비전을 갖고 출범하는 ‘국방혁신기술보안협회’(이하 국방보안협회)가 18일 오전 성남시 수정구 밀리토피아 호텔에서 창립 발대식 및 총회를 개최했다.

“군과 민간기업 간 미래지향적 국방보안의 교량 역할”을 목표로 하는 국방보안협회는 정호섭 前 해군참모총장이 이사장을, 대통령실 직속 국방혁신위원회 위원인 김승주 고려대 교수가 협회장을 맡았다.

이날 발대식은 박춘석 추진단장의 협회 창설추진 경과보고에 이어 김 회장과 정 이사장의 기념사, 외빈으로 참석한 권영해 前 국방부 장관의 격려사, 원유재 한국정보보호학회장의 축사 순으로 진행됐다.

이어진 총회에서는 협회 정관 등 몇 가지 안건이 의결됐으며, 공동운영위원장을 맡은 정임재 前 방첩사 1부장, 곽진 아주대 교수(한국정보보호학회 위험관리연구회장), 최광희 한국인터넷진흥원 사이버침해대응본부장 등 3명에게 위촉장이 수여됐다. 

박 단장은 “국방보안협회가 RMF, 인공지능, 드론 우주 등 국방혁신기술의 발전추세에 따라 방첩사 등 군내 보안을 담당하는 기관들의 노력에 부응하는 외부의 보안지원 단체로서 관련 분야 교육의 장을 마련하고 전문가 양성 및 관리에 주력하는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고 창설 취지를 설명했다. 

image
박춘석 추진단장이 협회 창설추진 경과보고를 하고 있다. [사진=국방혁신기술보안협회]

김 회장은 기념사에서 미국이 첨단기술에 대한 해킹 위협을 개발단계에서부터 원천 차단하기 위해 도입한 RMF를 언급하면서 협회의 역할을 “혁신기술 보안연구를 통해 국방사업을 지원하며, 법·규정 제도화 정책과 전략 수립을 돕고, 전문인력 양성 및 관리를 통해 국방 관련 사이버보안 산업의 활성화를 촉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협회가 우리의 국방력과 국가안보를 위한 중요한 발판이 되길 기대하며, 외국과 우리나라 간 벌어진 간격, 업체가 그동안 하고 싶었지만 못한 것, 컴퓨터 위주의 사이버보안 인력 양성 체계 등을 신속히 바꿔서 국방혁신 4.0 추진에 도움이 되는 활동이 이뤄지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정 이사장은 “우리 협회는 국방 혁신기술 분야에서 미래 지향적인 보안체계 구축을 목표로 군과 산·학·연을 연결하는 플랫폼 역할을 지향한다”며 “협회를 통해 대한민국의 튼튼한 국방과 과학기술 강군 육성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권 前 장관은 “기술 발달에 따라가는 것이 보안이며 여기에 전문가들이 많이 참여했지만, 정부가 이 협회를 활용하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다”면서 현재 국방보안을 담당하고 있는 정부부서와 연결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함을 강조했다.  

이날 행사에는 협회 활동에 참여 의사를 밝힌 100여명의 인원이 참석했으며, 고문으로는 임종인 前 청와대 안보특보, 박원동 前 방첩사 참모장, 원유재 정보보호학회장, 변재선 前 사이버사령관, 서태진 前 합참 지휘통신부장, 권혁진 前 국방부 정보화기획관, 채우석 방위산업학회장 등이 참여하고 있다. 

또한, 국방보안협회는 산·학·연 전문가들로 구성된 운영위원회를 두었으며, 이와는 별도로 상당수의 군·학·연 전문가들을 전문 자문위원으로 위촉했다. 또 사무국 예하에 혁신기술, K-RMF 기업지원, 국방보안 전문인력 관리 등 3개 분과를 편성했다.

현재까지 국방보안협회에 참여 의사를 밝힌 기업은 LIG넥스원, 한화시스템, 안랩, SK텔레콤, 진앤현시큐리티, 휴니드테크놀러지스, 쿼드마이너, 엑스게이트, 에이블맥스 등 43개이며, 박 단장은 내년까지 회원사를 100개로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By 뉴스투데이]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