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산보안Q (9)] 심상국 ㈜티엔젠 대표, “유무인 복합체계의 데이터 보호를 위해 데이터 전송부터 저장까지 종단간 암호화가 필요하다”

[방산보안Q (9)] 심상국 ㈜티엔젠 대표, “유무인 복합체계의 데이터 보호를 위해 데이터 전송부터 저장까지 종단간 암호화가 필요하다”

[뉴스투데이=김한경 안보전문기자] ㈜티엔젠은 드론이나 로봇 같은 지능형 자율 이동체와 사물인터넷(IoT) 기기들이 연결되는 물리-사이버 공간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회사이다. 2015년 설립됐으며, 기기에서 취득된 데이터와 제어 신호를 해킹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인증된 암호기술과 국내외 표준 암호기술에 적용되는 비밀키를 안전하게 생성·주입할 수 있는 전주기 비밀키 관리 솔루션 등이 핵심 제품이다. 

심상국 ㈜티엔젠 대표는 지난 27일 회사를 방문한 기자에게 현재 군에서 운영 중인 드론 및 다족로봇, 경계용 CCTV, 대테러용 가시화 체계 등에 회사에서 개발한 보안 솔루션이 탑재돼 있다고 소개하면서 “향후 유무인 복합체계의 유무선 통신 간 데이터 보호를 위해 데이터 전송부터 저장까지 ‘종단간 암호화’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종단간 암호화란 메시지를 전송하는 사람과 받는 사람만 메시지 내용을 볼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컴퓨터 유통 분야에 장기간 종사하면서 IT 관련 다양한 정보를 접해온 심 대표는 “무기체계에도 IoT와 AI 기술이 적용되고 있으며, 전장에서 통신의 핵심은 빠르고 안전한 연결에 있다”면서 “다양한 프로토콜과 소프트웨어가 적용되는 국방 기기의 특성에 맞도록 암호 제공 기기를 개발해 공급 중인데, 제공하는 보안기술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국가정보원 인증(KCMVP) 암호기술을 적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암호기술이 적용될 때 보안성의 근원은 비밀키 관리에 있는데, 종류가 다른 IoT 기기와 드론·로봇 같은 자율 이동체의 경우 입출력 인터페이스가 제한돼 안전하게 비밀키를 생성하고 주입하기 어렵다”며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비밀키 관리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 회사가 보유한 경쟁력이며, 기기 자체에서 구동되는 온디바이스 AI 솔루션도 개발 중이다”라고 소개했다.

<원문보기 : [방산보안Q (9)] 심상국 ㈜티엔젠 대표, “유무인 복합체계의 데이터 보호를 위해 데이터 전송부터 저장까지 종단간 암호화가 필요하다” (news2day.co.kr) >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