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산 이슈 진단 (106)] ‘GOP과학화경계시스템 성능개량 사업’ 제대로 추진되고 있는가?

[방산 이슈 진단 (106)] ‘GOP과학화경계시스템 성능개량 사업’ 제대로 추진되고 있는가?

[뉴스투데이=김한경 안보전문기자] 지난 1월 9일 방위사업청(이하 방사청)은 ‘인공지능(AI) 과학기술로 전방지역 경계 강화된다’는 제목의 보도자료를 통해 ‘GOP과학화경계시스템 경미한 성능개량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올해 안에 전력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사업은 동부전선 산악·해안 경계부대의 감시카메라와 통제시스템 노후화에 따른 오경보 등 탐지능력 저하로 발생하는 경계 취약점을 보완하는 것이 목적이다.

방사청은 이 자료에서 “객체(사람 등) 식별을 위한 AI 영상분석, 열영상, 단파장적외선 기능 등을 군 최초로 도입, 탐지능력을 향상해 주·야간뿐만 아니라 악천후 시에도 경계작전의 효율성과 신뢰성이 향상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기존방식 대비 오경보 발생을 최소화해 경계병력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고, 경계근무 부담이 경감됐으며, 감시 거리 확장 등 탐지능력도 향상됐다”고 덧붙였다.

■ 감지시스템에서 오경보 발생하는데 감시시스템 성능 향상 통해 해법 찾아

방사청 자료처럼 과연 오경보가 감시카메라와 통제시스템 노후화에 따른 것일까? 기존 감시카메라의 성능에 AI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영상분석을 통해 사람과 동물을 식별하고 적외선 기능으로 감시능력을 높이는 것은 감시카메라(CCTV)의 성능 향상에 효과적인 수단이다. 그러나 기존 GOP과학화경계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오경보는 감시카메라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감지시스템에서 발생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이미 [방산 이슈 진단(93)]에서 “경계시스템의 기본은 각종 센서를 이용해 침입을 감지하는 ‘감지시스템’, CCTV 등 영상정보를 이용해 침입을 확인하는 ‘감시시스템’, 입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대응·경보발령 등을 하는 ‘통제시스템’으로 구성된다”고 관련 학문의 이론을 빌려 설명했다. 즉 주수단인 ‘감지시스템’이 센서를 통해 침입을 감지한 후 경보를 울리면 보조수단인 ‘감시시스템’의 CCTV가 자동 회전해 해당 지점을 확인하는 방식이다.

지난해 11월 24일 한국국방연구원이 ‘과학화경계시스템 운영 발전방향’ 제하로 발간한 국방논단(1968호)에서도 “물리보안시스템을 구축할 때는 ‘주 감시수단으로 감지시스템을 구축하고 보조수단으로 CCTV(감시시스템)를 운용한다’는 원칙이 있다”고 기술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원칙이 지켜지지 않으면 경계병력이 오히려 더 증가하거나 지나친 병력감축으로 경계의 사각이 만들어져 경계 실패가 반복될 수 있다고 말한다.

그러나 1월 10일 중앙 일간지가 경기도 연천의 한 전방사단을 방문한 르포 기사에 따르면, AI를 활용한 경계작전 혁신체계 개념은 비무장지대(DMZ) 내 감시초소(GP)의 중거리 카메라, GOP의 중·근거리 카메라와 철책 구간을 오가며 촬영하는 이동식 레일 로봇을 통해 얻은 영상정보의 이상징후를 AI로 분석하는 방식이다. 부대의 지원을 받아 작성된 것으로 보이는 이 기사에서 감지시스템에 관한 설명은 전혀 없다.

[기사 더보기]

출처 : 뉴스투데이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