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조구현 기자] “AI 지능화 시대에 데이터 기반의 제로트러스트 보안으로 전환해 국가 사이버 보안을 근본적으로 강화해야 한다.”
한국방위산업학회와 국방혁신기술보안협회, 한국제로트러스트보안협회가 26일 공군호텔에서 공공으로 개최한 ‘K-방산 지속 발전 및 강군 육성을 위한 미래 국방보안 강화 컨퍼런스’에서 전문가들은 한목소리로 이같이 조언했다.
이날 국방보안 컨퍼런스에서는 AI와 디지털 국방기술에 기반한 K-방산의 사이버 보안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RMF(리스크 매니지먼트 프레임워크), 우주보안 및 제로트러스트보안을 주제로 관련 전문가들이 미래 국방보안 강화를 위한 제언과 대책을 발표했다.
한국방위산업학회 채우석 회장은 개회사에서 “과거 무기를 원조받던 대한민국이 지금은 수십조 원의 무기를 수출하는 방산 강국으로 우뚝 섰다”면서 “우리가 보유한 유・무형의 기술정보를 지킬 수 있도록 방위산업 기술 보호 체계를 강화하고, 방위산업 연구개발과 수출진흥으로 방위산업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제로트러스트보안협회 이무성 회장은 환영사에서 “정보화 시대에는 네트워크 기반의 망 분리 보안이 큰 역할을 해 왔지만, 이제 지능화 시대에는 데이터 기반의 제로트러스트 보안으로 전환하여 국가 사이버 보안을 근본적으로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정부 부처들이 2025년도 예산 작업할 때 제로트러스트 예산을 포함해 기획재정부로 제출해 줄 것을 건의했다.
한국국방우주학회 박인호 회장(전 공군참모총장)은 축사에서 “우주를 활용한 전쟁은 걸프전과 아프간전, 이라크전, 우크라이나-러시아전에서 확실하게 보여주었다”면서 “우주는 국가 안보의 핵심 영역으로 대두되었기 때문에 RMF, 제로트러스트보안 기술을 우주보안에 활용해 우주자산의 보호를 강화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국방혁신기술보안협회 김승주 회장(대통령 직속 국방혁신위원회 위원)은 기조강연에서 망분리 대안으로 데이터를 C(Classfied), S(Sensitive), O(Open)으로 분류해 차등적인 보안 조치를 주문했다.
출처 : 국방신문(http://www.gukbang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