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국방AI

[방산 이슈 진단 (136)] 국방부에 AI 컨트롤타워 만들어야…미 국방부의 CDAO 벤치마킹 필요

[방산 이슈 진단 (136)] 국방부에 AI 컨트롤타워 만들어야…미 국방부의 CDAO 벤치마킹 필요

대부분 AI의 국방 도입 가로막는 문제 인식하고 개선에 공감하나 업무 이끌 컨트롤타워 부재첨단전력기획관에 고위공무원 보직하는 수준만으론 컨트롤타워 역량 발휘하기 어려운 상황 [뉴스투데이=김한경 안보전문기자] 지난 21일 부승찬·유용원 의원이 공동 주최한 K-방산혁신포럼이 ‘AI 시대의 국방획득체계 발전방안 모색’을 주제로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개최됐다. 이날 축사를 맡은 이두희 국방부 차관과 석종건 방위사업청장은 물론 주제발표와 토론에 나선 방산 전문가들 그리고 포럼에

더보기
[방산 이슈 진단 (133)] 국방 AI 적용 실질적 진전 이뤄지려면 국방부부터 AI 거버넌스 재정립 필요

[방산 이슈 진단 (133)] 국방 AI 적용 실질적 진전 이뤄지려면 국방부부터 AI 거버넌스 재정립 필요

[뉴스투데이=김한경 안보전문기자] 지난달 29일 민홍철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은 ‘왜! 첨단국방과학기술(AI) 주도 軍 운영이 필요한가?’란 주제로 국회에서 ‘무인무기체계 발전방안 세미나’를 개최했다. 당시 토론자로 나선 김진우 국방기술품질원 지능SW팀장은 “국방 분야의 인공지능(AI) 기술적용과 맞춤형 정책 추진이 시급하다”며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한 AI 기반의 유무인 복합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박삼준 국방기술진흥연구소 AI PD는 AI 기반 통합시스템으로 초연결 전투능력 확보를 언급하면서

더보기
[방산 이슈 진단 (131)] 국방 AI 도입 성과 있으려면 현행 국방획득체계의 근본적 개선이 우선돼야 한다

[방산 이슈 진단 (131)] 국방 AI 도입 성과 있으려면 현행 국방획득체계의 근본적 개선이 우선돼야 한다

[뉴스투데이=김한경 안보전문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는 12일 10대 대선공약의 첫 번째로 ‘경제 강국 만들기’를 내세우며 인공지능(AI) 산업을 집중 육성해 새로운 성장기반을 구축하겠다는 구상을 내놓았다. 이를 위해 AI 관련 예산 비중을 선진국 수준 이상으로 증액하고 100조원 규모의 민간 투자금도 유치하겠다고 밝혔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후보도 2호 공약으로 AI 강국 도약을 위해 AI 인재 20만명 양성을 내걸었다. 이와 관련,

더보기